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바다 낚시, 해우질을 위해 스마트 '물때표 보는 방법'과 '조석표' 쉽게 보는 방법

by 대박리뷰 2020. 5. 1.
반응형

 

 

오늘은 물때표 보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합니다. 

네이버 검색창에서 물때표를 입력하고 검색하면 가장 상단에 나오는 사이트가 '국립해양조사원'입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정부기관으로 전국 주요 항만, 수로의 정밀조사와 해도제작 등의 업무를 하고 있으며, 이어도와 가거초 해양과학기지를 운영하고 있어 태풍과 같은 긴박한 기상 사태를 경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 다루는 주제와 가장 연관이 있는 물때를 예보하고 낚시용 물때표를 제작하고 배포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물때 예보
2. 해수욕장 이안류 예경보
3. 실시간 연안정보 제공
4. 바다갈라짐 예보
5. 낚시용 물때표 제작
6. 요트ㆍ해수욕장도 제작

다음에 주로 사용하는 것은 '바다타임'이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바다타임은 부산에 있는 업체가 만들어서 제공하고 있는데, 물때표에 대한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업체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늘 알아 볼 내용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는 스마트 조석표/물때표 보는 방법입니다. 스마트 물때표를 이용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정부기관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이용이 더 많아질 것입니다.

아래의 내용이 인천을 기준으로 하는 스마트 조석표입니다. 스마트 조석표를 잘 살펴보면 앉은 조금, 무시, 한물, 한조금, 한매, 두물과 같이 복잡하고 어려운 단어들이 적혀 있습니다. 이런 단어들을 보니 왠지 머리가 무겁습니다. 이제 부터 쉽게 조석표 물때표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먼저 물때표 보는 방법을 알기 전에 조석표가 왜 생겨났는지 부터 알 필요가 있습니다. 조석표는 물때표라고 하는데, 바닷 물때의 움직임을 표로 나타낸 것으로 물때는 달로 인해 생겨납니다. 

 

달이 지구를 매일 돌기 때문에 달의 인력으로 조석현상이 발생되며 6시간을 기준으로 만조과 간조가 생깁니다. 만조와 간조에 대해 설명을 드리면, 만조는 하루 중에 수위가 가장 높은 때이며, 간조는 하루 중에서 바닷물의 수위가 가장 낮은 때를 말합니다. 
그리고  15일을 기준으로 매달 같은 물때가 두 번 오게 되는데 이때는 사리와 조금에 대해 이해를 해야 합니다.  사리는 조수 간만의 차이가 가장 커서 물 흐름이 빠른 날을 말하며, 조금은 단어가 보여주는 것처럼 조수 간만의 차이가 가장 적어 물 흐름이 적은 날을 말합니다. 
물때는 1물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2 물, 3 물, 4 물로 진행됩니다. 이때 간조와 만조 차이가 커지면서 물 흐름이 빨라지게 됩니다. 

하지만 모두 1물, 2 물, 3 물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용어에 대한 정의부터 할 필요가 있네요. 여기에서 물때의 표현 방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국립해양조사원의 물때 표현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물때표 보는 방법은 물 때의 표현 방법에 따라 달라집니다.

국립해양조사원 물때 표현방법


조석표는 달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음력을 활용합니다. 따라서 조석표를 보면 항상 음력 달력이 함께 있습니다. 그럼 먼저 일반적인 표현법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1. 일반적 표현법
일반적인 표현법으로 턱사리, 한사리, 목사리. 어깨사리, 허리사리, 한꺽기, 두꺽기, 선조금, 앉은조금, 한조금 한매, 두매, 무릅사리, 배꼽사리, 가슴사리 순서로 진행됩니다. 

(음력기준)
1일-턱사리
2일-한사리
3일-목사리
4일-어깨사리
5일-허리사리
6일-한꺽기
7일-두꺽기
8일-선조금
9일-앉은조금
10일-한조금
11일-한매
12일-두매
13일-무릅사리
14일-배꼽사리
15일-가슴사리

이후에는 16일에는 턱사리, 한사리, 목사리 순서로 진행이 됩니다. 일반적인 표현법은 사람의 신체를 기준으로 무릅, 배꼽, 가슴, 턱, 어깨, 허리 등을 사용해서 이름을 붙였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많이 사용되지 않고 외우고 활용하는 데는 쉽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2. 7물때식

인천 등 서해안에 사용되는 7물때는 이런 일반적 표현 방법보다 쉽습니다. 통상적으로 1물, 2물, 3물 등으로 말하는데, 동해안에서 쓰는 물때와 비교하기 위해서 '매'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물때표 보는 방법에서 이것을 더 쉽게 표현하면 10일이 기준이 되면서 음력 10일이 한매가 됩니다. 그리고 두매, 세매, 네매 순서로 진행이 됩니다.

(음력 기준)
10일-한매
11일-두매
12일-세매
13일-네매
14일-다섯매
15일-여섯매
16일-일곱매
17일-여덟매
18일-아홉매
19일-열매
20일-한꺽기
21일-두꺽기
22일-아조
23일-조금
24일-무시

이렇게 진행이 되면 물때표는 음력을 기준으로 계속 반복되게 됩니다. 그런데 어떤 경우에는 '다섯매'과 '일곱매' 사이에 '여섯매'가 있어야 하는데 '여섯매'가 없이 바로 '일곱매'로 뛰어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것은 음력 30 일이 없는 달에는 29일에서 바로 1일로 가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3. 8물때식

남해 지역 등에서는 8물때를 사용합니다. 여기에서는 '한물', '두물', '세물'과 같이 숫자가 앞에 있고 다음에 '물'이라는 단어가 들어옵니다. 이것이 우리가 가장 많이 들어 본 물때의 용어일 것입니다

(음력기준)
9일- 한물
10일-두물
11일-세물
12일-네물
13일-다섯물
14일-여섯물
15일-일곱물
16일-여덟물
17일-아홉물
18일-열물
19일-열한물
20일-열두물
21일-열세물
22일-열네물
23일-조금

24일은 다시 한물, 25일은 두물, 26일은 세물, 네물, 다섯물 여섯물, 일곱물 순서로 진행이 되면 물때표는 음력을 기준으로 계속 반복되게 됩니다. 


다시 처음의 조석표를 보겠습니다. 이제는 앉은 조금, 무시, 한물, 한조금, 한매, 두물이라는 용어가 눈에 들어올 것입니다.

그 후 고, 저, 고, 저, 라는 단어가 있는데 그것은 만조와 간조의 시간대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고'는 '만조', '저'는 '간조'때의 시간입니다. 저도 이 스마트 조석표를 즐겨 사용하는데 그 시간이 대단히 정확합니다. 

8 물이 중요한데 8 물일 때는 사리가 되어 가장 큰 조수의 차이를 보이고 물의 흐름도 최고가 됩니다. 그 후 9물, 10물로 갈 때는 점차적으로 다시 조수의 차이가 줄어들게 되며, 15 물(조금)이 될 때는 물 흐름이 최저로 됩니다. 이후에는 다시 1 물부터 시작되게 되죠. 전국적으로 모든 지역이 음력에 따라 물때가 동일하게 적용이 되는데 달라지는 것은 간조와 만조의 시간만 달라집니다. 따라서 조석표를 볼 때는 지역도 잘 봐야 합니다. 그래서 상단에 [조석예보표(인천)]이라고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만약 신안군 흑산도에서 낚시를 하고 싶은데 위의 표를 보고 판단하면 안 되겠죠.

조석표에서는 일출과 일몰의 시간이 제시됩니다. 여기에서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일출과 일몰의 시간이 다음날이 때는 약 1분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5월 3일과 4일을 비교해 보면 3일에 일출은 5시 36분인데, 4일에는 5시 35분으로 1분 당겨집니다. 일몰은 19시 25분에서 다음날인 4일에는 19시 24분이 됩니다. 그렇다면 결국 하지가 오기 전까지는 매일 2분 정도씩 낮이 길어진다고 할 수 있겠죠. 조석표를 가지고도 많은 것을 유추하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물때표 보는 방법입니다.


스마트 조석표에서는 일주일간의 물때표가 나옵니다. 동해안은 조수의 간만의 차이가 그렇게 크기 않지만 서해안은 차이가 많은 곳이라 물때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면 낚시를 갔을 때 물이 들때까지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습니다. 

아는 것이 힘이라고 하듯이 이렇게 조석표를 알고 나면 이제는 더욱 안전하고 재미있게 낚시와 해우질을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바다낚시, 해우질을 위해 물때표와 조석표 쉽게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리나라 낚시 산업의 규모 및 전국 낚시인의 수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우리나라 낚시 산업의 규모(낚시 시장)와 전국 낚싯배(낚싯배 현황)는 몇 척이나 있을까?

우리나라는 동해, 남해, 서해로 삼면이 바다로 되어 있어 낚시를 하기에 정말 좋은 환경입니다. 일본은 섬나라로 모든 지역에서 낚시가 가능하죠. 그래서 일본의 낚시 시장은 우리나라보다 훨씬

socialcast.tistory.com

 

반응형

댓글